1. 데이터다이빙 교육설계 매니저의 업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데이터 다이빙입니다.
오늘은 데이터다이빙에서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인지, 어떤 업무를 담당하는지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데이터다이빙에서는 매니저를 ‘교육설계 매니저’라고 칭합니다.

왜 단순히 ‘매니저가 아닌 교육설계 매니저일까요?’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직접 교육 설계 매니저 Grace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Q1. 자기소개와 담당하고 계신 업무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교육설계 매니저 그레이스입니다.
기업 교육의 모든 단계를 책임지고 진행하며, 교육 강사 매칭부터 사후 지원까지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요. 저희가 맡고 있는 업무는 엄밀히 말하면 운영(Operation)보다는 프로젝트 관리자(PM)에 더 가깝습니다.

이렇게 하고 있는 이유는 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콘텐츠, 강사, 수강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인데요. 저희는 교육의 모든 측면을 파악하고 조율함으로써 퀄리티 높은 안정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자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Q2. 교육설계 단계에서는 어떤 일이 진행되나요?

데이터다이빙에서의 교육설계 단계는 고객사의 니즈와 수강 대상자의 상황을 철저히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커스터마이징하는 단계입니다.

좀 더 자세히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먼저, 고객사 진단 과정에서는 어떤 주제의 교육이 필요하고, 어느 정도의 난이도와 기간으로 진행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업 담당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만약 사내에서 수강자 대상의 FGI(모집단 면접)나 설문 조사 등을 진행하지 못한 경우, 관련 작업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특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분야의 교육을 처음 진행하는 기업의 경우, 질문들을 구체화하고 응답을 도와주어 고객사의 진단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합니다.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 기획은 1차와 2차로 나뉘어집니다.
1차 기획에서는 구체적으로 교육하고자 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목표를 수립하여 하나의 기업을 위한 교육 프레임과 교육 방식을 선택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교육의 내용과 진행 방향에 대한 상세한 기획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파이썬 기초 전사 교육을 진행하고 수강 대상자들이 기초를 숙지한 상태라면, SQL과 파이썬을 연결하여 활용하는 심화과정과 SQL 기초과정을 추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겠죠!

이후 2차 기획에서는 기업의 요구에 따라 디테일한 커스터마이징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사내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하거나, 유통산업과 관련된 사례나 퀴즈를 포함시키거나, 온라인 마케터 직무와 관련하여 실습 위주로 진행하는 것 등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구성합니다.

이러한 교육 설계와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저희는 고객사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화된 교육 경험 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Q3. 그러면 강사 매칭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저희는 강사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이 과정은 꼼꼼하게 진행됩니다.

먼저, 저희 내부에는 강사님들의 강점과 특장점을 담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강사님들의 CV뿐만 아니라, 실제 강의와 여러 번의 자체적인 시범 강의를 통해 직접 파악한 일종의 정성적 자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육 주제, 고객사의 산업 군, 수강 대상의 직무, 해당 강의 진행 방식, 강의 난이도, 교육일정 등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강사를 매칭해드리려고 노력합니다!

👉Q4.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운영단계에서는 어떤 일이 있나요?

교육 운영 단계는 사전 준비와 실제 교육 당일 운영으로 나뉩니다.

사전 준비 단계에서는 콘텐츠 개발팀과 협업하여 맞춤형 교육자료를 개발하며, 사전 공지를 위한 안내문 등의 자료 준비, 수강생 오픈 카톡방 개설, 교육자료 송부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아무래도 데이터다이빙에서 제공하는 강의 대부분이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활용하다 보니 보안 이슈나 장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객사와 꼼꼼히 협의한 후 사전 준비를 진행합니다.
한편,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나 가입이 있을 경우 사전에 매뉴얼을 제공하여 강의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죠!
또한 아주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수강생들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 설문을 실시합니다.
이는 강의의 난이도를 설정하고, 수강생들 개개인의 관심 분야나 세부적인 수준을 파악하여 강의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교육 당일 운영 단계에서는 전담 매니저가 강의 장소에 상주하여 강의 시작 전에는 강의 자료부터 중간 중간 틀 BGM까지 꼼꼼히 강의 환경을 설정하며,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 강의 타임라인과 퀄리티를 체크하고 수강생의 컨디션을 관리합니다.
만약 장시간 강의의 경우 수강생과 강사의 텐션 조절이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꼼꼼히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서포트를 제공합니다.
또한, 실습이나 프로젝트 진행 시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수강생에게 지원을 하기 위해 사전에 시뮬레이션과 훈련을 실시합니다.
강의 시작 전과 쉬는 시간, 점심시간에도 수강생들을 관리하고 원활한 강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사진 촬영도 진행하곤 합니다.

수강생들과 함께하는 이 시간이 설레이고 긴장되는 순간이지만, 저희는 최고의 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꼼꼼함과 안정성을 추구하려고 노력합니다.

👉Q5. 그렇다면 교육 끝나고 나서 사후단계에서는 어떤 업무를 하시나요?

드디어 마지막 단계네요!
교육 이후에는 수강생들의 질문과 과제를 관리하며, 교육 결과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만약 교육 진행 중에 사후 과제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과제의 제출과 답안 관리를 수행 업무도 포함해서 업무를 진행합니다.

교육 결과 보고서의 경우엔 강의 사후 설문을 기반으로 작성되는데요.
이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 기획 단계에서 수립한 교육목표에 맞게 교육이 잘 이루어졌는지?
  • 각 회차별 수강생의 진도율, 만족도 및 후기 평가 결과가 어떤지?
  • 교육의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평가가 어떤지?

👉Q6. 마지막으로 하고 싶으신 말씀 해주세요!

“내가 이 회사 HRD(인재개발팀) 팀의 팀원이 된 것처럼 일하자”

저희 교육설계 팀은 위와같은 모토로 모든 업무를 진행합니다.
제 3자가 아닌 동료이자 협력자로써 교육의 전체 과정을 함께하는 것이고, 이러한 가치를 항상 강조하고 있습니다. ^^

만약 교육 진행 중에 사후 과제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과제의 제출과 답안 관리를 수행 업무도 포함해서 업무를 진행합니다.

교육 결과 보고서의 경우엔 강의 사후 설문을 기반으로 작성되는데요.
이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육설계 매니저님께서 마지막으로 강조하신 한마디가 사실 데이터자이빙의 기업교육에서 핵심적인 가치입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교육설계 팀원과의 업무를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Similar Posts